무역 대금과 관련해서는 L/C 와 T/T 가 가장 대중적이고,
L/C로 할 거면, L/C at sight로 할 것인가? L/C Usance로 할 것인가?
T/T로 할 거면, 선수금을 언제 얼마나 받아야 되는가? 를 고민해야 한다.
그런데, L/C와 T/T에 가려져서 잘 안 쓰지만 알아 두면 무역 계약에 깨알같이 도움이 되는 D/P 와 D/A 무역 대금 조건이 있다. 공통점은 은행을 통하지만 은행은 절대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선수금 없는 외상 거래라서 선적 후 수입자가 돈 안 주면 방법이 딱히 없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입자의 신용조사를 하든가 수출보험을 들던가 여러 가지 방지책을 고민하지만 웬만하면 추천하지 않는 무역 대금 방식이다.
D/P 는 Documents against payment의 약자로서, 수입자가 선적 서류를 받고 물건을 찾고 싶으면, 즉시, 은행에 무역 대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게 기본 개념이다. D/P의 프로세스는 선적 후 수출자가 은행에 선적 서류와 함께 환어음 추심을 의뢰하게 되고 (추심은 간단히 발하면 돈 받아 달라는 뜻), 수출자 거래은행과 수입자 거래 은행을 통해서 수입자에게 통보를 하게 된다. 수입자는 물건을 찾고 싶으면 은행에 대금을 지급하게 되고 그 대금은 결국 수입자에 전달하게 되는 프로세스다. 실제로는 수입자가 돈 안 주면 물건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수출자 입장에서는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수입자가 돈도 안 주고 통관도 안 하고 시간 끌고 있으면 딱히 답도 없다는 점도 알고 있어야 한다..
D/A는 Documents against Acceptance의 약자로서, 수입자는 선적 서류를 먼저 받고 통관시키고 무역 대금은 만기일에 지급한다는 것이다. D/A의 기본 프로세스는 D/P와 같으나 수입자는 D/P처럼 바로 결제를 하지 않고 물건을 먼저 찾을 수 있다는 게 큰 차이이다. 우선 선적 서류를 통해 상품을 찾고 향후 만기일에 무역대금을 지급하는 형식아가 때문에 수입자 입장에서는 상당히 좋은 반면 수출자에게는 최악의 조건이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로는 본사와 지사 간의 거래처럼 확실한 거래일 때만 쓰인다.
'무역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전 무역] L/C at sight , L/C usance, L/C banker's usance, L/C shipper's usance 개념 정리 (0) | 2023.11.13 |
---|---|
[실전무역] T/T in advance , T/T선수금 , 무역대금 T/T, T/T 언제 얼마나 받아야 할까? (0) | 2023.11.11 |
[실전무역] T/T (선수금&잔금) + L/C (at sight & usance ) + B/L (오리지널 & 서랜더) (2) | 2023.11.09 |
[실전무역]수출하고 싶다면? 수입하고 싶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행동력 ! 여기서 성패가 갈리는 이유 (0) | 2023.06.30 |
[실전무역] 수출 초보 기업의 수출 준비 !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