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x-work 공장 출고가이다. Ex-work 일산 이면 일산 공장 또는 창고에서의 출고가라는 뜻이다. 수출자가 트럭킹을 필요도 없고 수출 통관할 필요도 없고 그냥 앞에 놓으면 된다. 그렇다면, 언제 ex-work를 사용할까? 바이어가 컨테이너를 , 컨테이너에 여러 제품을 섞어서 싣는 경우에 사용된다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예를 들면, 바이어가 40ft  FCL 진행을 , 여러 공장을 돌면서 싣는 경우처럼 말이다.

FOB는 공장 출고가 + 트럭킹 비용 + 수출 제비용+통관 비용을 더한 가격이다. 통관은 수출자가 한다. 수출 제비용이라는제비용이라는 THC, Document fee 같은 비용으로서 해상 운송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보통 큰 금액이 나오진 않는다. 단지 LCL로 진행할 경우에는 CFS charge가 발생하고, 포워더가 트럭킹과 통관을 대행하면 그 비용이 수출 제비용에 포함돼서 나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처럼 포워더가 트럭킹과 통관 비용도 대행 서비스를 해주기 때문에 FOB 가격으로 수출 오퍼를 할 때는 포워더에게 문의해서 견적을 한꺼번에 받고 계산하는 것이 쉽다. 즉, 수출을 생각할 때는 일단 포워더를 하나 미리 정해놔야 모든 업무에 편리하다.

CIF는 공장 출고가 +트럭킹 비용 + 통관 비용 + 해상 운송비 + 보험 + 수출 제비용을 더한 가격이다. CIF와 CNF 차이점은 보험이 포함되느냐 불포함되느냐 정도다. 그렇다면 보험료는 비싼가? 딱히 그렇지는 않다. 일반적인 수출 오퍼 프로세스는 FOB가격으로 오퍼를 하고 바이어의 요청으로  CIF로 조정하는 식이다. 실전 무역에서 보면 처음부터 CIF로 요구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FOB만 알아도 무역을 함에 있어 어려움은 없다.

반응형

+ Recent posts